우주탐사 5

“태양계의 조용한 주인공들, 위성이야기”

태양계에서 ‘행성’만큼 중요한 천체가 있습니다. 바로 '위성(Moon, Satellite)'입니다. 지구의 달을 포함해 태양계에는 무려 200개 이상의 위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행성 못지않은 복잡한 지질 구조, 대기, 심지어 생명 가능성까지 품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구의 달 너머, 숨겨진 위성들의 세계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위성의 정의와 종류 위성은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말합니다. ■ 자연위성(Natural satellite): 달, 유로파처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천체 ■ 인공위성(Artificial satellite): 인류가 발사한 통신위성, 탐사위성 등 태양계에는 목성과 토성이 대부분의 위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 위성은 작은 행성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스케일과 ..

과학/우주 2025.06.14

우주의 진동을 듣다, 중력파의 모든 것

목차 1. 들어가며 2. 중력파란 무엇인가? 3. 중력파의 역사적 예측과 발견 4. 중력파의 발생 원리 5. 중력파를 어떻게 탐지하는가? 6. 중력파가 밝혀낸 우주의 비밀 7. 전자기파와 중력파의 비교 8. 중력파와 우주론의 연결성 9. 미래 우주 연구와 중력파 10. 결론 1. 들어가며 우주는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주는 '진동'을 남깁니다. 이 진동은 공간 자체의 출렁임, 즉 '중력파(Gravitational Waves)' 입니다. 우리가 중력파를 감지한다는 것은, 멀고 먼 우주에서 일어난 거대한 사건—예컨대 블랙홀 충돌이나 초신성 폭발—의 흔적을 공간의 파동 형태로 직접 느낀다는 뜻입니다. 2015년, 인류는 역사상 처음으로 이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이는 과학계에 있어 천체물리학의..

과학/우주 2025.06.08

외계행성과 생명체의 존재가능성

우주에는 수천억 개의 은하가 있고, 그 안에는 또 수천억 개의 별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별들 주변에는 수많은 행성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는 이를 '외계 행성(Exoplanet)'이라고 부릅니다. 과연 이들 행성 중에는 지구처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본 글에서는 외계 행성의 정의와 발견, 생명체 거주 가능성, 주요 외계 행성, 그리고 인류의 탐사 노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외계 행성이란 무엇일까? 외계 행성이란 태양계 밖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의미합니다. 우리 태양계의 8개 행성처럼, 외계 행성도 고체나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궤도, 질량, 조성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2년 처음으로 외계 행성이 발견된 이후, 2025년 현재까지 5,00..

과학/우주 2025.06.03

태양계의 푸른 끝자락, 해왕성

태양계의 가장 먼 행성, 해왕성(Neptune)은 눈에 띄는 푸른 외형과 거대한 폭풍, 신비로운 고리 시스템으로 천문학자들과 우주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어온 존재입니다. 해왕성의 발견 역사부터 대기와 내부 구조, 고리와 위성 시스템, 탐사, 과학적 의미까지 총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해왕성은 해왕성은 태양에서 여덟 번째로 떨어진 행성으로, 평균 거리 약 45억 km(30 AU)에 위치합니다. 지름은 약 49,500km로 지구보다 약 4배 크며, 질량은 약 17배 정도입니다. 해왕성은 천왕성과 함께 '얼어붙은 거인(Ice Giant)'으로 분류되며, 주로 물, 암모니아, 메테인 등의 얼음 성분으로 구성된 맨틀을 지니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1846년 프랑스의 수학자 우르뱅 르베리에(Urbain ..

과학/우주 2025.06.02

태양계의 붉은 행성, 화성에 대하여

화성(Mars)은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위치한 행성이며, '붉은 행성'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표면을 덮고 있는 산화철(녹)의 영향으로 붉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고대부터 인류는 화성을 관찰하며 신화, 문학, 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연구해왔습니다. 최근에는 탐사선과 로버들이 활약하며 화성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화성의 기본 특성부터 대기, 지질, 탐사 역사, 생명 가능성까지 다각도로 살펴보겠습니다. 1. 화성의 물리적 특성 ● 지름: 약 6,779km로 지구의 절반 정도입니다.● 중력: 지구의 약 38% 수준으로, 사람이 화성에서 뛴다면 훨씬 높이 도약할 수 있습니다.● 자전과 공전: 자전주기는 약 24.6시간, 공전주기는 약 687일로 지..

과학/우주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