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3

“태양계의 조용한 주인공들, 위성이야기”

태양계에서 ‘행성’만큼 중요한 천체가 있습니다. 바로 '위성(Moon, Satellite)'입니다. 지구의 달을 포함해 태양계에는 무려 200개 이상의 위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행성 못지않은 복잡한 지질 구조, 대기, 심지어 생명 가능성까지 품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구의 달 너머, 숨겨진 위성들의 세계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위성의 정의와 종류 위성은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말합니다. ■ 자연위성(Natural satellite): 달, 유로파처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천체 ■ 인공위성(Artificial satellite): 인류가 발사한 통신위성, 탐사위성 등 태양계에는 목성과 토성이 대부분의 위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 위성은 작은 행성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스케일과 ..

과학/우주 2025.06.14

오로라의 과학-밤하늘을 빛내는 경이로움

북극과 남극에서 볼 수 있는 이 신비로운 빛은, 단순한 ‘예쁜 하늘색’이 아니라 태양과 지구가 협력해서 만들어내는 우주 현상입니다.영상으로 봐도 아름다운데 실제로 보면 느낌이 어떠할런지 궁금합니다. 이 글에서는 오로라가 어떻게 생기는지,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사람들은 이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왔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오로라란 무엇인가? 오로라(Aurora)는 라틴어로 ‘여명의 여신’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북반구에서 보이는 오로라는 북극광(Aurora Borealis), 남반구에서 보이는 것은 남극광(Aurora Australis) 라고 부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대기권 상층부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입자와 대기 분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형성되는 광학적 현상입니다. 쉽게 말해, 우주..

과학/우주 2025.06.13

타임머신은 현실이 될 수 있을까? – 시간여행의 과학과 상상 사이

누구나 한 번쯤 꿈꿔본 시간여행 과거로 돌아가서 로또 번호를 적어오고 싶었던 적, 있으시죠? 아니면 미래로 가서 내 자식들이 잘 살고 있는지 훔쳐보고 싶은 상상? 이처럼 타임머신은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판타지이자, SF 영화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하지만 그저 상상에 불과할까요? 오늘은 영화 속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도 많은 과학자들이 진지하게 연구한 시간여행의 과학적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1. 시간은 흐르는가, 아니면 존재하는가? 시간을 이해하려면 먼저 물어야 할 게 있어요. "시간은 정말 흐르는 걸까? 아니면 그냥 존재하는 걸까?" 우리는 항상 ‘시간이 흘러간다’고 느끼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이 직관을 완전히 뒤집습니다. 시간은 공간과 분리된 게 아니라 ‘시공간’이라..

카테고리 없음 2025.06.12

빛조차 삼키는 괴물, 블랙홀

들어가며“블랙홀”이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 미스터리입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애니메이션, 소설, 다큐멘터리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존재 중 하나죠. 그만큼 많은 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시에, 과학자들에게는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수수께끼이기도 합니다.이 글에서는 블랙홀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특성을 가지며, ‘사건의 지평선’이라는 개념이 왜 중요한지를 다뤄보겠습니다.1. 블랙홀이란 무엇인가?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극단적으로 강해,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천체입니다. 즉, ‘보이지 않는 천체’이며, 그 존재는 주변에 미치는 중력적 영향으로만 간접적으로 확인됩니다.블랙홀은 별의 일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아주 무거운 별이 수명을 다하고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뒤, 남..

과학/우주 2025.06.11

우주의 진동을 듣다, 중력파의 모든 것

목차 1. 들어가며 2. 중력파란 무엇인가? 3. 중력파의 역사적 예측과 발견 4. 중력파의 발생 원리 5. 중력파를 어떻게 탐지하는가? 6. 중력파가 밝혀낸 우주의 비밀 7. 전자기파와 중력파의 비교 8. 중력파와 우주론의 연결성 9. 미래 우주 연구와 중력파 10. 결론 1. 들어가며 우주는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주는 '진동'을 남깁니다. 이 진동은 공간 자체의 출렁임, 즉 '중력파(Gravitational Waves)' 입니다. 우리가 중력파를 감지한다는 것은, 멀고 먼 우주에서 일어난 거대한 사건—예컨대 블랙홀 충돌이나 초신성 폭발—의 흔적을 공간의 파동 형태로 직접 느낀다는 뜻입니다. 2015년, 인류는 역사상 처음으로 이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이는 과학계에 있어 천체물리학의..

과학/우주 2025.06.08

우주의 비밀을 푸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2021년 12월 25일, 인류는 우주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강력한 눈을 갖게 되었습니다. 바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입니다. 이 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잇는 차세대 관측 도구로, 우리가 지금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우주의 가장 초기 순간까지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발사 이후 2022년부터 본격적인 과학 임무를 시작한 제임스 웹은 기존 천문학의 패러다임을 뒤흔드는 놀라운 발견들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어떤 점에서 특별한지, 어떤 발견을 해왔는지, 그 발견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주 과학의 지형도를 어떻게 바꿔갈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제임스 웹 우주망원..

과학/우주 2025.06.07

우주의 미스테리 - 암흑에너지

보이지 않지만 우주를 지배한다? 보이지 않는 것이 더 무섭다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생각해본 적 있나요? “저기 저 별들 사이 빈 공간은 뭐지? 그냥 아무것도 없는 건가?” 사실, 우리 우주는 우리가 ‘보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담고 있습니다. 별, 은하, 행성 같은 것들은 우주의 일부일 뿐, 전체의 약 5%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럼 나머지 95%는 뭘까요? 바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입니다. 이 중에서도 오늘 우리가 다룰 친구는 바로 암흑에너지(Dark Energy)입니다. 이 친구,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정체는 모르겠지만, 우주를 팽창시키는 엄청난 에너지다.” 무슨 SF영화의 대사 같나요? 그런데 이게 진짜입니다. 1. 암흑에너지 넌 누구냐 암흑에너지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측..

카테고리 없음 2025.06.05

우주는 어디까지 팽창할까?

“우주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우주는 끝이 있을까, 무한할까?” 이 질문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의 상상력을 자극해왔습니다. 과거에는 신화와 철학이 이 질문에 답을 주려 했지만, 20세기 이후 과학은 우주를 관찰하고 분석하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기 시작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빅뱅 이론, 우주의 팽창 이론, 그리고 이를 수치화한 허블의 법칙입니다. 본 글에서는 우주의 나이, 팽창의 원리, 그리고 우주의 끝에 대한 여러 과학적 이론을 다뤄보겠습니다. 1. 우주의 나이 약 138억 년 현재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나이를 약 138억 년으로 추정합니다. 이 수치는 다음 두 가지 주요 근거를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1-1. 우주 배경 복사(CMB)의 관측 1964년, 아르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과학/우주 2025.06.04

외계행성과 생명체의 존재가능성

우주에는 수천억 개의 은하가 있고, 그 안에는 또 수천억 개의 별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별들 주변에는 수많은 행성들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는 이를 '외계 행성(Exoplanet)'이라고 부릅니다. 과연 이들 행성 중에는 지구처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본 글에서는 외계 행성의 정의와 발견, 생명체 거주 가능성, 주요 외계 행성, 그리고 인류의 탐사 노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외계 행성이란 무엇일까? 외계 행성이란 태양계 밖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의미합니다. 우리 태양계의 8개 행성처럼, 외계 행성도 고체나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궤도, 질량, 조성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2년 처음으로 외계 행성이 발견된 이후, 2025년 현재까지 5,00..

과학/우주 2025.06.03

태양계의 푸른 끝자락, 해왕성

태양계의 가장 먼 행성, 해왕성(Neptune)은 눈에 띄는 푸른 외형과 거대한 폭풍, 신비로운 고리 시스템으로 천문학자들과 우주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어온 존재입니다. 해왕성의 발견 역사부터 대기와 내부 구조, 고리와 위성 시스템, 탐사, 과학적 의미까지 총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해왕성은 해왕성은 태양에서 여덟 번째로 떨어진 행성으로, 평균 거리 약 45억 km(30 AU)에 위치합니다. 지름은 약 49,500km로 지구보다 약 4배 크며, 질량은 약 17배 정도입니다. 해왕성은 천왕성과 함께 '얼어붙은 거인(Ice Giant)'으로 분류되며, 주로 물, 암모니아, 메테인 등의 얼음 성분으로 구성된 맨틀을 지니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1846년 프랑스의 수학자 우르뱅 르베리에(Urbain ..

과학/우주 202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