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

빛조차 삼키는 괴물, 블랙홀

들어가며“블랙홀”이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 미스터리입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애니메이션, 소설, 다큐멘터리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존재 중 하나죠. 그만큼 많은 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시에, 과학자들에게는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수수께끼이기도 합니다.이 글에서는 블랙홀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특성을 가지며, ‘사건의 지평선’이라는 개념이 왜 중요한지를 다뤄보겠습니다.1. 블랙홀이란 무엇인가?블랙홀(Black Hole)은 중력이 극단적으로 강해,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천체입니다. 즉, ‘보이지 않는 천체’이며, 그 존재는 주변에 미치는 중력적 영향으로만 간접적으로 확인됩니다.블랙홀은 별의 일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아주 무거운 별이 수명을 다하고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뒤, 남..

과학/우주 2025.06.11

우주의 진동을 듣다, 중력파의 모든 것

목차 1. 들어가며 2. 중력파란 무엇인가? 3. 중력파의 역사적 예측과 발견 4. 중력파의 발생 원리 5. 중력파를 어떻게 탐지하는가? 6. 중력파가 밝혀낸 우주의 비밀 7. 전자기파와 중력파의 비교 8. 중력파와 우주론의 연결성 9. 미래 우주 연구와 중력파 10. 결론 1. 들어가며 우주는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주는 '진동'을 남깁니다. 이 진동은 공간 자체의 출렁임, 즉 '중력파(Gravitational Waves)' 입니다. 우리가 중력파를 감지한다는 것은, 멀고 먼 우주에서 일어난 거대한 사건—예컨대 블랙홀 충돌이나 초신성 폭발—의 흔적을 공간의 파동 형태로 직접 느낀다는 뜻입니다. 2015년, 인류는 역사상 처음으로 이 중력파를 직접 관측했습니다. 이는 과학계에 있어 천체물리학의..

과학/우주 2025.06.08

우주의 비밀을 푸는 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2021년 12월 25일, 인류는 우주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강력한 눈을 갖게 되었습니다. 바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입니다. 이 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잇는 차세대 관측 도구로, 우리가 지금까지 상상하지 못했던 우주의 가장 초기 순간까지 관측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발사 이후 2022년부터 본격적인 과학 임무를 시작한 제임스 웹은 기존 천문학의 패러다임을 뒤흔드는 놀라운 발견들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어떤 점에서 특별한지, 어떤 발견을 해왔는지, 그 발견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주 과학의 지형도를 어떻게 바꿔갈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제임스 웹 우주망원..

과학/우주 2025.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