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9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

수성(Mercury)은 태양계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한 행성이며, 그만큼 태양과 가장 가까운 천체입니다. 눈으로는 보기 어렵지만, 고대부터 관측되어 온 수성은 작고 빠르며, 독특한 환경을 지닌 행성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성의 물리적 특성, 구조, 표면, 탐사 역사, 그리고 과학적 의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수성의 기본 정보 수성은 태양으로부터 평균 약 5,790만 km 떨어져 있으며,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입니다. 지름은 약 4,880km로 달보다 조금 더 크고, 지구의 약 38% 크기에 불과합니다. 질량도 지구의 약 5.5% 수준입니다. 이름은 로마 신화에 나오는 ‘메르쿠리우스(Mercurius)’에서 유래하였으며, 빠르게 움직이는 행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실제로 수성..

과학/우주 2025.05.31

지구의 쌍둥이 행성, 금성

금성(Venus)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며, 그 밝기 때문에 고대부터 ‘새벽별’ 또는 ‘저녁별’로 불려 왔습니다.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밀도를 가지고 있어 '지구의 쌍둥이'라는 별칭을 얻었지만, 그 환경은 매우 극단적이고 상반된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성의 구조, 대기, 탐사, 그리고 과학적 의미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금성의 기본 정보 금성은 지구와 매우 유사한 크기(지름 약 12,100km)와 질량(지구의 약 82%)을 지닌 행성입니다. 태양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지구와는 평균 약 4,100만 km 떨어져 있습니다. 육안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을 정도로 밝기 때문에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의 대상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금성의 환경은 지구와 크게 ..

과학/우주 2025.05.30

지구의 영원한? 동반자, 달(moon)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가장 쉽게 눈에 띄는 천체, 바로 달(Moon)입니다. 인류에게 가장 익숙하면서도 신비로운 존재인 달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과학적 탐사와 문화적 상징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본 글에서는 달의 기본 정보부터 구조, 기원, 과학적 의미, 그리고 인류와 맺어온 관계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1. 달(moon)은 달은 지구의 유일한 자연위성이며,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위성입니다. 지구로부터 약 38만 4천 km 떨어져 있으며, 지름은 약 3,474km로 지구 지름의 약 1/4 크기입니다. 중력은 지구의 약 1/6 수준으로, 이로 인해 달에서는 몸무게가 가볍게 느껴지게 됩니다. 달은 항상 같은 면만 지구를 향하고 있으며, 이는 '조석 고정(tidal lo..

과학/우주 2025.05.29

태양계의 거대한 왕, 목성

태양계의 빅대디 목성 태양계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행성이자 수많은 위성과 거대한 폭풍으로 둘러싸인 신비로운 세계입니다. 고대부터 사람들의 밤하늘을 수놓아온 이 행성은 단순히 ‘큰 행성’이라는 사실 이상의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존재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목성의 물리적 특성, 대기 구조, 고유한 현상들, 위성계, 탐사 역사 그리고 과학적 의의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목성을 들여다봅니다. 이름의 유래와 고대의 목성 목성은 고대 로마 신화에서 신들의 왕, 주피터(Jupiter)의 이름을 따왔습니다. 이는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Zeus)와 같은 존재로, 그만큼 목성이 지닌 압도적인 크기와 존재감은 고대에도 강렬한 인상을 남긴 것입니다. 목성..

과학/우주 2025.05.28

태양계의 고리의 제왕-토성이야기

태양계의 고리의 제왕 태양계를 이루는 수많은 천체 중에서도, 가장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행성을 꼽자면 단연 토성(Saturn)이 빠지지 않습니다. 아름답고 광대한 고리를 가진 이 가스 행성은, 어릴 적 누구나 한 번쯤 그림으로 그려봤을 법한 우주 속 상징적인 존재입니다. 그러나 단순히 외형적인 아름다움만이 토성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토성은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이며, 복잡한 대기 구조, 다수의 위성, 독특한 자기장과 내부 구조 등 다양한 과학적 비밀을 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토성의 물리적 특징, 고리의 구조, 위성들, 탐사 역사, 그리고 토성의 과학적 의의에 이르기까지 그 전모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고대부터 주목받은 행성 토성은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류가 고대로..

과학/우주 2025.05.27

태양계의 외로운 왜행성, 명왕성

외로운 왜행성, 명왕성 태양계를 떠올릴 때 보통은 수성과 금성, 지구, 화성 같은 내행성을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명왕성(Pluto)은 그 특이한 위치와 역사를 통해 여전히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알려졌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의 결정에 따라 '왜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며 행성의 지위를 잃은 명왕성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태양계 탐사에 있어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하고 있는 천체입니다. 명왕성의 발견과 이름의 유래 명왕성은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Clyde Tombaugh)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당시 그는 애리조나에 위치한 로웰 천문대에서 새로..

과학/우주 2025.05.26

인류는 정말 화성에 갈 수 있을까?

화성 이주의 시작? 우리가 흔히 보던 SF 영화 속 장면이 현실이 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단순한 우주 탐사를 넘어 '이주' 라는 개념이 진지하게 논의되는 곳, 바로 화성입니다. 인간이 지구 외에 살 수 있는 행성을 찾는 이유는 기후 변화, 자원 고갈, 인구 증가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 때문입니다. 이제는 단순한 상상이 아닌 과학적 토대 위에서 화성 이주 프로젝트들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우리는 화성에서 살아갈 수 있을까요? 화성 이주의 현재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과학계와 민간 우주기업들이 준비하고 있는 미래를 차근차근 들여다보겠습니다. 화성 이주 계획, 어디까지 왔을까? 가장 대표적인 주자는 '스페이스X(SpaceX)' 입니다. 일론 머스크는 “인류가 다행성 종족이 되어야 한다”고 ..

과학/우주 2025.05.23

태양계의 붉은 행성, 화성에 대하여

화성(Mars)은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위치한 행성이며, '붉은 행성'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표면을 덮고 있는 산화철(녹)의 영향으로 붉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고대부터 인류는 화성을 관찰하며 신화, 문학, 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연구해왔습니다. 최근에는 탐사선과 로버들이 활약하며 화성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화성의 기본 특성부터 대기, 지질, 탐사 역사, 생명 가능성까지 다각도로 살펴보겠습니다. 1. 화성의 물리적 특성 ● 지름: 약 6,779km로 지구의 절반 정도입니다.● 중력: 지구의 약 38% 수준으로, 사람이 화성에서 뛴다면 훨씬 높이 도약할 수 있습니다.● 자전과 공전: 자전주기는 약 24.6시간, 공전주기는 약 687일로 지..

과학/우주 2025.05.16

행성과 항성의 차이: 우주의 두 주인공

우주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크고, 그 안에는 수많은 별과 행성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성과 항성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용어를 혼용할 때가 있는데, 사실 이들은 매우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행성과 항성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항성이란 무엇인가? 항성(star)은 우주의 중심에서 빛을 발하는 거대한 천체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항성은 바로 태양입니다. 항성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빛과 열을 발산하는데, 이는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 상태에서 수소 원자들이 융합되어 헬륨 원자로 변하면서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며, 그 에너지가 항성을 빛나게 만듭니다. 항성은 자기만의 빛..

과학/우주 2025.05.12